종교개혁 [宗敎改革, Reformation]
요약
16~17세기 유럽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쇄신을 요구하며 등장했던 개혁운동이다.
본문
이를 통해 오늘날 프로테스탄트라 부르는 교파가 생겼다. 이 운동은 광범위하게 벌어졌는데, 특히 17, 18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퓨리터니즘도 넓은 의미로는 이 운동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아비뇽 교황의 대립으로 생긴 분열 결과, 14세기경부터 그 안팎에서 쇠퇴의 기미를 보이고 있었다. 이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공의회(公議會) 운동이 활발히 추진되어 피사·콘스탄츠·바젤 등지에서 공의회가 열렸으나, 문제의 해결을 보지 못한 채 무위로 끝났다.
한편, 프랑스·영국 등 유럽 각국은 근대 국민국가로의 길을 걷기 시작하여 중세적 그리스도교 세력은 점차 쇠퇴해 갔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종교개혁은, 교회의 혁신운동이지만 근대국가의 성립이라는 정치적 변혁과 밀접한 함수관계에 있었다.
본격적인 종교개혁은 M.루터에 의해서 비롯되었으나 루터 이전에도 개혁의 선구자로 불리던 사람들이 있었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는 민중 사이에서 성서적 신앙을 인도한 프랑스의 발도, 롤러드파(派)를 이끌던 영국의 위클리프, 위클리프의 사상을 이어받아 독립운동을 일으킨 보헤미아의 후스, 윤리적 쇄신을 시도하였다가 끝내 순교한 피렌체의 사보나롤라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르네상스적 인문주의와 종교개혁과는 본질적으로 성격을 달리한다.
즉, 르네상스적 인문주의는 예술적이고 귀족적이어서 참으로 역사를 변혁할 힘을 갖지 못하였다. 이와는 달리 종교개혁운동은 깊이 민중의 마음을 포착하여 역사를 움직였다. 마찬가지로 근대의 서곡이라 할 르네상스와 종교개혁과는 그 출발점과 역사상 미친 영향면에서 볼 때 근본적으로 다르다.
[종교 개혁의 역사]
1483 루터, 아이스베른에서 태어남
1484 츠빙글리 탄생
1509 칼뱅 태어남
1513 루터 '하느님의 뜻' 발견
1517 루터, <95 개조 의견서> 내놓음
1519 루터, 라이프치히에서 에크와 논쟁
1520 루터에 대한 파문협박장 공포
1521 루터에 대한 정식 파문장 공포. 4월 루터, 보름스 제국의회에 출두하고, 귀로에 바르트부르크 성에 보호되다. 소르본 대학 신학부, 루터를 이단(異端)으로 단정, 이어 르페브르의 저서에서도 똑같은 선고를 함.
1522 루터, 신약성서의 독일 번역판 출판
1523 츠빙글리, 취리히에서 개혁운동을 개시. 취리히 토론 열림
1524 독일, 농민전쟁 시작됨
1525 루터 결혼. 에라스무스와의 <자유 의지> 논쟁. 모에서 프랑스의 개혁운동단체에 탄압.
1526 제1차 슈파이어 제국의회 개최
1529 제2차 슈파이어 제국의회 개최. 이 때부터 '프로테스탄트'란 명칭이 쓰이기 시작함. 성찬문제에 관해서 루터와 츠빙글리 마르부르크에서 회담함
1530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 개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이 작성되어 루터파의 기본 신조가 되다. 그러나 로마 교회와의 타협 실패
1531 슈말칼덴 동맹 결성. 츠빙글리 전사함
1534 헨리 8세. '성직자 임명법' 및 '수장령(首長令)'을 공포하여 영국 교회를 로마 교회로부터 결정적으로 분리시킴
1535 퀸스터에서 재침례파(再浸禮派) 괴멸
1536 칼뱅, 《그리스도교 강요(綱要)》를 출판, 파렐의 요청으로 제네바의 개혁운동에 참가
1538 반대파의 책동으로 제네바의 개혁운동은 일시 좌절되고 파렐은 뉴샤테르로, 칼뱅은 스트라스부르에 감
1540 칼뱅, 또다시 제네바에 귀환
1545 트리엔트 공의회 개시됨(1563년까지)
1546 루터 죽음
1572 성(聖) 바르톨로뮤의 학살
1620 메이 플라워호(號)에 의한 필그림(청교도의 일파)의 신대륙 이주
1640 청교도혁명 개시됨
<독일의 종교개혁>
독일 종교개혁의 횃불은 1517년 10월 31일 아우구스티누스회의 수도사이면서 신학교수인 루터가 <면죄부(免罪符)에 관한 95개조 논제>의 항의문을 비텐베르크대학의 성(城)교회 정문에 게시함으로써 올려졌다. 이 항의문은 마인츠의 대주교(大主敎) 교회의 알브레히트가 재정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판 면죄부에 대해 루터가 그 성사적(聖事的) 효과를 신학적으로 문제삼은 것이었다. 이것이 루터 자신의 예상을 넘어 유럽 전체에 파급되는 대운동으로 발전한 것이다.
루터가 이와 같이 가톨릭교회의 근원을 이루고 있는 교리를 근본적으로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은, 이미 4,5년 전 그가 수도원 생활의 악전고투 속에서 바울로의 ‘하느님의 뜻’이라는 복음을 재발견하였기 때문이다. 이로써 그는 인간의 영혼 구원이란 인간의 선행에 따른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만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신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의 가장 깊은 근원은 구원문의 정확성을 둘러싼 루터의 내적 싸움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95개조 논제>는 경제적으로 로마에 의해 많은 수탈을 당하여 온 독일 국민의 지지를 얻게 됨으로써, 문제가 일개 수도사가 제기한 신학논쟁에서 독일 국민 전체의 정치적 ·경제적인 문제로 확산되어 갔다. 당초 교황 레오 10세는 이 문제를 경시하였다가 문제의 해결이 어렵게 되자 유화책을 강구하기도 하였으나 루터는 1519년의 J.에크와의 라이프치히 논쟁 때 결정적으로 가톨릭교회와 정면대결하기에 이르렀다. 그것은 이 논쟁에서 루터는 보헤미아의 후스를 본떠 교황과 교회회의의 가류성(可謬性)을 주장하고 그 권위의 절대성을 부정하였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1520년 6월 드디어 루터에 대한 파문(破門)이 단행되었다.
이어 1521년에 루터는 보름스 국회에 소환되어 황제의 심문을 받았는데, 여기에서도 그는 자신의 신앙을 관철하였다. 그는 심문을 받고 돌아가다 작센의 선제후(選帝侯:중세 독일, 곧 신성로마제국의 제후 가운데 황제의 선거에 관여할 수 있었던 7명의 제후) 프리드리히 현공(賢公)의 호의로 바르트부르크성(城)에 보호되어 1년에 걸친 체재 중 신약성서의 독일어 번역을 완성하였다. 이 루터역 성서는 문학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독일 국민의 정신적 유산이 되었다.
그러나 루터가 바르트부르크에 머물고 있던 사이에 비텐베르크에서는 1521년 카를슈타트(본명은 Andreas Bondenstein)가 지도하고 있던 과격분자들이 급격한 혁신운동으로 이른바 ‘비텐베르크소요’를 일으키고 있었다. 미사의 폐지, 평신도에 대한 성배(聖杯) 부여, 성상(聖像) 파괴 등은 개혁운동의 논리적 귀결이라 하나, 원래 보수적이었던 루터는 이를 급속하게 실행하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이 소요는 루터가 바르트부르크에서 돌아온 뒤 진정되었지만 그 여파는 1522년의 ‘기사(騎士)의 난’ 농민전쟁(1524∼25)으로 발전하였다. 이 무렵부터 개혁운동은 제2단계에 들어가 루터는 한편으로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싸우면서, 한편으로는 재세례파(再洗禮派)와 싸우는 양면작전을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한 그는 에라스뮈스와의 ‘자유 의지론’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인문주의와도 결별을 하여야만 되었다.
당시 유럽의 정치정세는 복잡하여서 신성(神聖)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독일과 에스파냐를 지배하고 있던 카를 5세는 로마 교황과 손을 잡고 근대국가로서 급속히 부상한 프랑스와 싸워야 하는 한편, 동방으로부터의 투르크의 침입을 경계하여야만 될 어려운 입장이었다. 이 때문에 카를 황제는 독일 국내 제후(諸侯)의 지지를 필요로 하여, 루터에게서 일어나기 시작한 개혁운동을 일방적으로 억제만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독일 국내의 정치세력을 양분하는 결과가 되었다.
황제는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국회에서 양파의 화해를 시도하였으나 실패로 돌아가, 프로테스탄트측의 제후와 도시는 1531년 슈말칼덴 동맹을 결성하고 하나로 뭉쳐서 황제 및 교황측과 대결함으로써 이윽고 독일은 종교전쟁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의 내전에 고통을 겪어야만 했다. 그러나 이 사이 루터파 교회는 점차 발전하여, 루터가 죽은 뒤 ‘순정(純正) 루터파’와 멜란히톤을 지지하는 ‘필리피스텐(필립파)’으로 분열되기도 하였으나, 독일 각지에서 꾸준히 성장하면서 확산되어 갔다.
<독일의 종교개혁과 종교전쟁 때의 독일 >
1517년 M.루터의 <95개조 의견서>에 의해 시작된 종교개혁 운동은 단지 종교적인 운동으로만 그치지 않고 정치·사회의 혁명적인 운동으로까지 번졌다. 면죄부 판매로 재정적 수탈을 일삼는 로마교회와, 황제권 강화에 여념이 없는 카를 5세(재위 1519∼1556)에 대한 영방제후들의 불만이 누적되었고, 교황청의 타락을 비판하는 도덕재건의 기운 및 교황의 간섭을 배제하려는 독일의 민족정신이 전국적으로 고양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1522∼1523년 반(反)교회· 반제후적인 기사전쟁이 일어났고, 1524∼1525년 남서부 및 중부독일에서 제후와 교회의 권위를 공격하고 종교개혁을 지키기 위한 농민전쟁이 일어났다.
루터 자신은 농민반란에 방관적이었으며 독일의 제후들도 반(反)황제적·반교황적이기는 했으나 영내 주민의 혁명을 묵과하지는 않았다. 한편 에스파냐 왕을 겸한 카를 5세는 프랑스와 전쟁 중이었기 종교개혁을 적시에 저지하지 못했고, 제후들 중에는 루터의 보호자였던 작센 선거후를 비롯하여 종교개혁을 지지하는 자가 많았다. 그래서 황제와 남부 영방을 중심으로 한 구교파 제후와 북부 영방을 중심으로 한 신교파 제후 사이에 1546∼1547년 슈말칼덴전쟁이 벌어졌으나, 결국 1555년의 아우크스부르크 종교화의(宗敎和議)에서 황제는 신·구 양 종파 영방의 병존을 승인하게 되었고, 따라서 독일은 영방적 분열 외에 종교적으로도 분열하게 되었다.
종교개혁기는 아우크스부르크의 푸거가(家)로 대표되는 독일 초기 자본주의의 황금시대였다. 그러나 정치적 분열 때문에 독일의 경제는 지리적 발견에 따른 서유럽 제국과의 세계상업 및 해외식민활동 경쟁에서 처지게 되었다. 또 한자동맹도 몰락해버렸다. 중세 말기에 이탈리아는 제국으로부터 분리되었고 스위스도 종교개혁기에 사실상 독립하였다. 또한 카를 5세 이후 합스부르크가가 에스파냐계와 오스트리아계로 분리되었을 때 상업이 성한 네덜란드는 에스파냐 지배하에 들어갔다.
아우크스부르크 화의 이후에도 신·구 종파 간의 분쟁이 그치지 않다가 1618년 보헤미아 신교도의 반란이 계기가 되어 30년 전쟁이 일어났다. 그것은 전 독일의 내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웨덴·덴마크·프랑스 등이 신교 측에 가담하여, 구교· 황제파와 싸움으로써 국제전으로 확대되었고, 전장이 된 독일 국토는 극도로 황폐하였다. 1648년 베스트팔렌조약에 의해 종교적인 평화는 달성되었으나 알자스는 프랑스에, 북독일의 주요 항만과 하구는 스웨덴에 할양되어, 독일제국은 정치·경제적으로 무력화되었다.
<영국의 종교개혁 >
영국은 위클리프 때부터 로마 교황의 세력권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운동이 있었는데, 헨리 8세의 이혼문제를 계기로 완전히 가톨릭 교회로부터 이탈하여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었다. 이 이혼문제에는 국왕의 개인적 사정뿐만 아니라 내외의 정치적 ·종교적 정세가 복잡하게 엉켜 있었다. 그리하여 1534년의 ‘수장령(首長令)’에 따라 영국은 국왕을 최고관리자로 하는 독립된 교회가 되었는데, 그 교의 내용은 여전히 가톨릭적이었다.
다음의 에드워드 6세 시대에 들어서자 개혁정책이 단행되어 교회는 현저하게 칼뱅주의 경향을 띠게 되었다. 그러나 메리의 치하에는 다시 가톨릭교회에 대한 복귀정책이 취해져 많은 목사와 신도들이 박해를 받았다.
이같이 영국은 국왕이 바뀔 때마다 그 교회체제에도 크게 변동이 있어 오다가, 엘리자베스 1세 치하에 국운이 융성해지면서 일단 안정을 되찾아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중간입장인 중도적 방향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엘리자베스의 철저하지 못한 개혁에 불만을 품은 청교도들은 장로주의(長老主義)의 스코틀랜드에서 제임스 1세를 맞이하여 보다 철저한 개혁의 실시를 청원하였으나 이들의 희망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탄압을 받았다.
오랫동안 억압되어 있었던 개혁에 대한 기대는 잉글랜드 대 스코틀랜드의 전쟁을 계기로 촉발하여, 드디어 1649년 찰스 1세의 처형을 정점으로 하는 청교도혁명에 이르렀다. 이 혁명은 크롬웰의 주도하에 수습되었으나 이 혁명을 계기로 해서 많은 프로테스탄트파가 생겼다. 오늘날 미국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는 이 청교도혁명으로 생긴 여러 파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스위스의 종교개혁>
1481년 졸로투른과 프리부르를 참가시키고, 1501년 바젤과 샤프하우젠을 동맹원으로 만든 스위스는 장크트갈렌의 수도원령에서 해방된 아펜첼의 가입과 함께 13주 동맹이 되었다(1513). 당시는 이탈리아전쟁의 시대로 스위스는 루이 12세의 프랑스에 용병을 보냈으나(동부는 밀라노 쪽에 파병), 나중에는 교황 율리우스 2세 쪽에 접근하여 1512년에는 프랑스군을 북이탈리아에서 몰아내어 현재의 이탈리아 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그러나 프랑수아 1세의 군대에 패배한 후부터는 프랑스가 용병 징모권(徵募權)을 쥐었다. 종교개혁 운동이 일어나자 취리히에서는 츠빙글리가 복음주의에 입각한 설교를 하기 시작했으며(1519), 용병제 배격, 우상폐지, 교회재산 매각에 의한 구빈법 실시 등 급진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 움직임은 샤프하우젠·바젤·베른에도 미쳤으며, 신교의 8개주는 동맹하여 원시 3주를 비롯한 구교 여러 주와 대립하였다.
1528년 베른회의에서 각 주의 신앙의 자유가 일단 인정되었으나 2차례의 카펠전쟁 끝에 신교는 패배하고 츠빙글리도 전사하였다. 이 무렵 독자적인 발전을 해오던 서부의 제네바가 사보이가(家)의 압력에서 벗어나려고 스위스 연맹의 보호를 요청하였으며, 프리부르 및 베른과 조약을 맺었다. 그러나 신교사상이 급속히 퍼졌기 때문에 프리부르와는 단절하였으며, 베른의 원조하에서 1536년에 독립공화국이 되었다.
제네바는 이리하여 신교운동의 중심이 되었으며, 파렐과 칼뱅의 힘으로 개혁이 추진되어 신정정치(神政政治)의 도시가 되었다. 또한 베른은 보 지방을 얻어 강대해졌다. 17세기에도 2차례의 빌메르겐전쟁 등 종교상의 분쟁이 있었으나 파멸적인 종교전쟁에까지 이르지는 않았으며, 30년전쟁 때에도 중립을 지켰다. 내부 불화가 있으면 용병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프랑스도 스위스의 중립을 원했다. 때문에 시계(서부)·직물(동부) 등의 공업이 크게 일어났고 포도주와 밀도 수출되었으며, 조세도 가벼워서 각 주는 번영을 누렸다. 그리하여 1648년의 30년전쟁을 종결시킨 베스트팔렌조약에 의해서 신성로마제국으로부터의 스위스 연맹의 독립을 열국(列國)으로부터 인정받았다.
<프랑스의 종교개혁>
프랑스의 종교개혁은 르페브르, 파렐 등의 인문주의자들로부터 시작되었다. 르페브르는 루터에 앞서 성서적 개혁사상을 품고 있었으나 루터의 개혁사상이 프랑스 국내에 유입된 이래 소르본느 신학부를 중심으로 찬부 양론이 격렬하게 일었다. 그러나 1521년 4월 소르본측은 결국 루터가 이단임을 단정하고 이때부터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었다. 1525년 파리 교외 모에서 있었던 르페브르를 중심으로 하는 그룹의 모임이 탄압 해산되자, 지도자들은 각지로 흩어져 이 가운데 파렐은 제네바에 가서 개혁운동을 일으켰다. 그의 개혁운동은 뒤에 칼뱅에게 계승되었는데, 이 칼뱅을 통해 세워진 제네바 교회가 프랑스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지도하게 된다.
칼뱅은 처음에 에라스뮈스를 숭배하는 인문주의자였으나 루터의 개혁사상에 끌려 복음주의로 전환하였다. 그는 1536년<그리스도교 강요>(綱要)를 출판함으로써 일약 복음주의의 지도자로 부상하였고, 탄압을 피해서 스위스의 제네바에 자주 들렀다가 파렐의 설득으로 개혁운동에 가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최초의 개혁운동은 복음적 신앙의 자유가 방종으로 오해되어, 개혁운동자들을 정치적 ·도덕적으로 민중을 속박하는 자들로 간주한 세력들의 반대에 부닥쳐 실패하였다.
칼뱅은 한때 스트라스부르에 피신하여 그곳에서 프랑스인 난민교회의 목사로 일했으나 1540년 초청을 받고 다시 제네바로 갔다. 이후 그는 죽을 때까지 제네바에 머물면서 제네바를 프로테스탄트의 일대 근거지가 되게 하였다. 칼뱅은 루터의 의인론(義認論:오직 믿음으로만 의로워진다는 주장)을 계승하였는데, 이 점에서는 두 사람 모두 복음주의의 기반에 서 있었다. 그러나 칼뱅은 구원을 받은 자는 하느님의 도구로서, 하느님의 영광을 빛내도록 적극적으로 활동하여야 할 것(실천주의)임을 강조한 점에서는 루터와 다른 특색을 지닌다.
이와 같은 신앙은 뒤에 퓨리터니즘(청교도주의)에서 현세의 직업에 충실함으로써 스스로 하느님의 예정을 확정하려 하는 독특한 직업윤리를 낳았다. 이같은 직업관은 근대 자본주의 성립에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종교개혁의 의의 >
종교개혁은 루터의 ‘하느님의 뜻의 발견’에서 비롯되는 그리스도교의 혁신운동이었으나,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에서도 세계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근대 세계와 근대인이 탄생하였다. 종교개혁 후에는 계몽주의(啓蒙主義)가 일어나, 언뜻 비종교적 합리주의가 근대사회의 특징이 된 것 같이 보였지만, 근대인을 ‘마술’에서 진정으로 해방시킨 것은 단순히 자연과학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합리적 ·과학적 태도를 표출한 종교개혁의 정신이었다.
<이 글은 두산백과사전의 내용을 갈무리한 것입니다. >
'말씀묵상 > 성경및신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본주의(휴머니즘, humanism) (0) | 2010.09.08 |
---|---|
근본주의 [根本主義, fundamentalism] (0) | 2010.09.08 |
프로테스탄트교회 [Protestant Church, 개신교회, 개혁교회] (0) | 2010.09.08 |
KNCC(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NCE(복음주의협회) (0) | 2010.09.08 |
에큐메니즘(교회일치운동) (0) | 2010.09.08 |